1. 현상
- docker0 인터페이스 대역이 사내 서버 ip와 겹칠 경우 통신이 안되는 현상
2. 조치
2.1 OS에서 routing 설정으로 해결 가능
2.2 docker0 대역을 변경
(1) kubespray의 경우 docker.yml 파일에서 docker 옵션으로 변경 가능
...
docker_options: "--bip 192.168.0.1/16"
(2) 이미 클러스터가 배포되어 있는 경우
/etc/docker/daemon.json 파일 수정
{
"bip":"192.168.0.1/16"
}
docker 재기동
# systemctl restart docker
*restart docker하면 바껴야 정정상데 vm 환경이라그런지 적용이 안되는 서버들이 있음. 여러번 restart 해서 적용이되기도 하는데... reboot하면 바로 해결
3. 확인
# ip a | grep docker0
############# 추가 #############
deamon.json 파일에 bip 옵션을 넣을 경우 클러스터 삭제/재생성이 제대로 되지 않음
-> 다른 파일에도 bip 옵션이 있어서 옵션 충돌이 남
deamon.json 파일이 아닌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docker-options.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함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점검 자동화(비공개) (0) | 2022.08.23 |
---|---|
ETCD 백업&복구(비공개) (0) | 2022.07.30 |
[csi-nfs-driver] pv 폴더가 root로 생성되어 권한없음 문제 (0) | 2021.11.10 |
ETCD 백업 & 복구 스크립트 (0) | 2021.11.09 |
[context] 원격지 클러스터 context 적용 스크립트 (0) | 2021.11.09 |